programming/C Programming Take-it 2020. 5. 29. 18:49
C언어에는 다양한 연산자가 있습니다. C언어에 있는 다양한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산자란? 프로그램을 짤 때 변수나 값의 연산을 위해 사용되는 부호. 프로그래밍을 할때 연산을 하기 위해 '+', '-', '*', '/' 등의 부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호에 따라서 어떻게 계산이 되어지는지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산술 연산자(+,-,*,/,%) 산술식을 구성하는 요소! 바로 수학에서 수치계산을 할때 필요로 하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를 가르켜 산술 연산자 라고 이야기 합니다. #include // 산술 연산자 int main(void) { int a = 2; int b = 1; printf("더하기 : %d\n", a + b); printf("빼기..
더 읽기
programming/C Programming Take-it 2020. 5. 28. 23:43
C언어에서는 변수선언을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자료형(Data Type)이 있습니다. 이러한 자료형은 기본 자료형이라고 하는데 이번에는 기본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수 자료형 자료형에는 크게 정수 자료형과 실수 자료형이 있습니다. 먼저 정수 자료형에서 양수와 음수를 모두 저장할 수 있는 char, short, int, long, long long의 자료형(Data Type)이 있고 unsigned을 자료형 앞에 붙여 양수의 데이터 만을 처리해 2배의 양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자료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unsigned는 "무 부호" 또는 "부호가 없는"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unsigned가 없다면 자동적으로 signed가 선언되어지기 때문에 "signed는 생략되어있다"라..
programming/C Programming Take-it 2020. 5. 27. 08:00
C언어에서 제공하는 변수(Variable)에는 크게 정수형 변수(int, char, long)와 실수형 변수(float, double)로 나뉘어지고 이런 변수의 형태는 자료형 또는 데이터 타입(Data Type)이라고 합니다. 상수(Constants)는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하고 사람으로 친다면 출생년도, 태어난 국가, 태어난 장소같이 변하지 않는 고정적인 수 예를 들어 원주율의 3.14와 같이 변하지 않는 수를 의미합니다. 변수(Variable)는 "변하기 쉬운"값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으로는 나이 입니다. 나이는 2020년 29살이라면 2021년에는 30살이 되어지게 되기 때문에 나이 처럼 값이 바뀌게 되어지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변수의 선언 방법은 변수를 선언할 이름과 선언할 변수앞에 변수의 데이터 ..